“주기도문에서 ‘우리 아버지’라고 부르는 대상은 구체적으로 누구일까요?”
“하나님 아닌가요?”
“물론 하나님이죠. 그런데 하나님에 대해서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 들어보셨어요?”
“성부, 성자는 들어봤는데요…”
“하나님은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이라고 합니다. 혹시 삼위일체 이야기는 들어보셨어요?”
“삼위일체라는 단어는 들어봤지만 하나님이 삼위일체라는 건 처음인데요.”
“삼위일체는 인간의 머리나 물리적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존재양식입니다.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이 각각 구분되는 존재지만 우열이나 서열이 없는 한 분이라는 겁니다.”
“그럼 전부 하나님이라는 건가요?”
“예.”
역시 예상대로 표정이 복잡했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사도신경’을 공부할 때 하겠습니다. 주기도문에서 ‘우리 아버지’는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 중 누구일까요?”
“아버지니까 성부 하나님 아닌가요?”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도를 ‘성부 하나님께, 성자 예수님의 이름으로, 성령 하나님의 도움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이라고 해야 ‘우표’를 붙인 것이라고 하기도 했습니다. 그럼 성부 하나님은 가만히 앉아 기도를 배송 받으시고, 성령 하나님은 배송 기사가 되는 걸까요?”
“같은 하나님이라면서요? 그건 좀 이상한데요.”
“그렇죠? 그리고 보통 기독교인들이 기도 맨 마지막에 뭐라고 하는지 아세요?”
“예,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이라고 하죠.”
“주기도문은 예수님이 이렇게 기도하라고 가르쳐 주신 기도문인데, 맨 마지막에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가 있나요?”
“없네요.”
“처음에 기도는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죠?”
“대상이요.”
“기도는 ‘내가 지금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하니까 하나님이든 부처님이든 공자님이든 아무나 들어주세요.’가 아닙니다. ‘누구에게 기도하는가?,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 내 아버지시다’를 마음에 상정하고 하는 겁니다. 내가 지금 위급한 상황이라서 살려달라고 기도해야 하는데 ‘하나님 아버지, 살려주세요.’라고 기도해야 하나님이 들으실까요? 꼭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이라고 끝을 맺지 않으면 ‘우표를 안붙여서 들어줄 수가 없네.’라며 거절하실까요?”
“아니요.”
“하나님은 그 사람이 ‘살려주세요.’라고만 해도 들으십니다. 그 ‘하나님 아버지’가 누구신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성경 말씀 한 곳을 보겠습니다. 모니터를 봐주세요. 이 말씀은 예수님이 태어나기 700년 전에 이사야라는 선지자를 통해 예수님이 태어날 것에 대한 예언입니다.”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의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의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여기서 ‘한 아기’나 ‘한 아들’이 누구일까요?”
“예수님이겠죠.”
“그런데 그 아래 뭐라고 했는지 보세요. 예수님을 가리켜 ‘전능하신 하나님, 영존하시는 아버지’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기도하면서 ‘하나님 아버지’라고 했을 때 아버지는 성부 하나님만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이 모두 우리 존재의 근원인 아버지가 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기도를 받는 분은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 하나님입니다.”
“성부만 아버지가 아니라 성부, 성자, 성령이 다 기도의 대상이란 말이네요.”
“예,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복잡하게 성부, 성자, 성령 따지지 말고 그냥 하나님께 기도하는 걸로 생각하면 안되나요?”
“설명으로 이해되는 게 아니니까 일단은 그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