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16:16-24] ‘이미’와 ‘아직’ 사이의 성도

하나님의 약속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이미 이루어진 일도 있고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일도 있다. 이미 이루어진 것은 십자가와 부활과 승천이고,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대표적인 것이 재림과 심판이다. 사실 모든 사람이 …

글 보기

[요 15:16-21] 교회와 세상은 친할 수 없는가?

기독교인은 세상과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할까? ‘세상’은 교회를 적대시하는 세력의 대명사이다. 기독교인은 세상을 멀리해야 할 것처럼 교육받기도 한다. 과연 기독교인은 세상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요한복음 15:16-21 16   너희가 나를 택한 것이 아니요 …

글 보기

[요 15:9-15] 사랑은 좋은데 계명은 싫다고?

단어는 고유한 이미지가 있다. 사랑은 따뜻하고, 부드럽고, 너그럽다. 계명은 딱딱하고, 엄격하고, 경직된 느낌이다. 사람들은 사랑을 원하고 계명은 거부한다. 그런데 예수님은 사랑과 계명을 상충되는 개념으로 사용하지 않으신다. 왜 예수님은 사랑과 계명을 …

글 보기

[요 15:5-8] 열매를 맺지 않으면 태워버린다고?

포도나무 비유 중 상당히 부담스럽고 무서운 부분이다. 가지가 붙어있지 않거나 열매가 없으면 태워버린다고 한다. 평안을 주신다던 예수님이 왜 이런 말씀을 하신 것일까? 가지인 우리는 포도나무에 붙어있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예수님은 우리에게서 …

글 보기

[요 15:1-4] 포도나무 비유의 배경과 의미

예수님의 포도나무 비유는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다. 구약의 선지자들이 이미 포도나무 비유를 말했다. 구약의 포도나무 비유와 신약의 포도나무 비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성도가 맺어야 하는 열매는 무엇인가? 성도는 어떻게 예수님에게 붙어있을 …

글 보기

[요 14:28-31] 예수님은 보이지 않고 고난이 닥쳐올 때

기독교인도 고난을 당한다. 힘들 때는 마치 하나님이 없는 것 같고 신앙이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본문의 제자들이 그런 상황이다. 예수님이 자기들을 두고 떠나신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제자들을 위해 예수님은 뭐라고 말씀하셨을까? 그것은 …

글 보기

[요 14:26-27] 예수님은 평안을 주신댔는데 왜 평안하지 않을까?

예수님은 평안을 약속하셨다. 그런데 기독교인도 평안하지 않다. 평안이 없어도 이제는 그러려니 하고 살아간다. 예수님이 신자에게 아직 평안을 주시지 않은 것인가? 아니면 신자가 잘못해서 평안을 받지 못하는 것인가? 요한복음 14:26-27 26   보혜사 …

글 보기